신상훈 금융산업공익재단 이사장(사진 왼쪽)과 윤혜미 아동권리보장원장은 1일 재단 이사장실에서 아동분야 사회공헌사업 수행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금융산업공익재단
신상훈 금융산업공익재단 이사장(사진 왼쪽)과 윤혜미 아동권리보장원장은 1일 재단 이사장실에서 아동분야 사회공헌사업 수행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금융산업공익재단

 

금융산업공익재단이 아동분야 사회공헌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다.

신상훈 금융산업공익재단 이사장과 윤혜미 아동권리보장원장은 1일 재단 이사장실에서 아동분야 사회공헌사업 수행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금융산업공익재단은 산업단위 노사공동 공익재단으로 2018년 10월 설립됐으며, 금융노조 10만 조합원과 33개 금융기관이 공동 조성한 기금으로 사회공헌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재단과 보장원은 수도권 100개소 지역아동센터에서 아동권리 기반 다문화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전국 3000여명의 아동복지 종사자 중에서 정신건강 고위험군에 대한 심리방역과 치료를 지원한다.

아동권리 기반의 다문화 통합교육은 아동들이 일상의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방과 후 돌봄공간에서 실시해 갈증과 차별의 사각지대를 시급히 해소하자는데 뜻을 모았다. 

또 수도권 내 다문화 가정 아동 5인 이상이 이용 중인 지역아동센터 100개소 내의 아동과 부모, 종사자 등 2500명을 대상으로 하며, 아동권리 기반의 다문화 통합교육 전문가를 양성해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재단은 다문화 통합 교육을 위한 예산 10억원을 지원하며, 보장원은 사업 총괄 운영과 관리를 맡는다.

아동복지 종사자 정신건강 지원사업은 코로나19 시대에 숨겨진 재난 약자라 할 수 있는 아동복지종사자들의 정신건강과 인권보장을 위해 개인 심리상담·치료와 집단치료 등을 수행한다.

아동통합사례관리사의 97%가 여성이다. 코로나19 사회복지종사자 안전과 정신건강 실태조사에서 여성 사회복지종사자는 일반인의 5배를 초과하는 심각한 우울 위험군(22.1%)으로 나타났다. 이는 취약계층 아동과 학대피해 아동 및 가족을 상대로 가정방문 등 대면업무를 필수적으로 수행하는 상황에서 신변안전에 대한 위협이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신상훈 금융산업공익재단 대표이사장은 "우리나라는 고도성장을 통해 선진국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다문화사회로 빠른 속도로 전환하고 있다"며 "금융노사가 문화 다양성과 UN의 아동권리협약에 기반해 미래세대의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도록 다문화 통합교육을 수준높게 지원하고 아동복지 감정노동 종사자들의 인권 보호에도 도움을 주고 싶다"고 말했다.

윤혜미 아동권리보장원장은 "아동정책과 아동복지의 중추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아동권리보장원에서 국가 재정 등 여러 한계에 놓여있던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시의적절한 지원을 약속한 금융노사에 감사한 마음을 전한다"며 "보장원에서도 아동과 아동복지 종사자의 권리가 존중되고, 아동복지현장과 아동의 일상에서도 아동권리가 실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