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판교 오피스. 사진=카카오뱅크
카카오뱅크 판교 오피스. 사진=카카오뱅크

카카오뱅크가 시중은행급 사외이사를 영입해 이목을 끌고 있다.

올해 주식시장 상장을 앞두고 진용을 갖춘 셈인데, 사외이사의 이력만 봤을 땐 거물급이란 평가다.

31일 카카오뱅크는 정기주주총회를 열고 ▲재무제표 승인 ▲정관 일부 변경 ▲감사위원 선임 ▲이사 보수 한도 승인 등 총 7개 의안이 모두 통과됐다.

의안 중에는 윤호영 대표이사 연임 건도 포함됐다. 예상대로 윤호영 대표는 연임이 확정돼 앞으로 2년 더 카카오뱅크를 이끈다.

눈에 띄는 점은 사외이사의 이력이다.

카카오뱅크 이사회에 새롭게 합류한 진웅섭 전 금융감독원장, 오평섭 전 국민은행 부행장, 최수열 삼도회계법인 파트너가 사외이사로 신규 선임됐다.

카카오뱅크가 올해 하반기 IPO를 준비하고 있는 만큼 회계사인 최수열 이사가 합류한 것은 이해가 되는 부문이다.

그러나 진웅섭 전 금감원장의 합류를 두고 금융권은 술렁이고 있다.

진웅섭 이사는 금감원장 시절 인터넷전문은행 도입을 주도해 왔다. 사실상 카카오뱅크, 케이뱅크가 탄생할 수 있었던 것도 진 원장이 적극 지지한 덕분인 셈이다.

인터넷전문은행에겐 설립 3년 차까지 바젤Ⅲ, 종합감사 등 규제를 받지 않도록 유예해 주는 등 혜택이 주어졌다.

하지만 올해부턴 이와 같은 유예기간이 끝나면서 금융당국의 규제 대상에 올랐다. 이 때문에 업계에선 금융당국과 소통을 할 수 있는 거물급 인사가 필요했다는 시선이다.

특히 금감원은 카카오뱅크 신용대출과 관련해 예의주시하고 있다. 지난해까지 고신용자 중심의 대출로 당초 약속과 다른 중금리·중신용 대출을 소홀했다는 지적 때문이다.

소비자보호 측면에서도 카카오뱅크는 요주의 대상이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지적된 착오송금 이후 돌려받지 못한 비율의 경우 카카오뱅크는 51.2%를 기록했다. 평균치인 47.6% 보다 높은 만큼 소비자보호 역량이 뒤처진다 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전직 관료 출신이 대형은행 사외이사로 영입되는 경우는 종종 볼 수 있지만, 카카오뱅크가 진웅섭 전 원장을 선임한 건 눈길이 가는 대목”이라며 “진 전 원장이 앞으로 카카오뱅크와 금융당국과 다리 역할을 할지, 방패막 역할을 할지 관심이 높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