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전경.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사진=연합뉴스
아파트 전경.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사진=연합뉴스

2030세대의 새 일자리가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소 수준으로 줄었다. 성장 둔화와 사업 확장 지연, 노동시장 구조 변화가 겹치면서 기업들이 신규 채용에 나서지 않는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23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중 2030세대 신규 채용은 240만8000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만6000개 감소했다.

2018년 해당 통계가 집계된 이후 2분기 기준 최저치다.

2022년 279만3000개, 2023년 272만5000개, 지난해 252만4000개 등 3년 연속 감소세다. 2018년(285만6000개)과 비교하면 약 50만개가 사라졌다.

특히 사회 첫 진입이 집중되는 20대 이하 신규 채용이 137만개로, 전년 대비 8만4000개 줄며 역대 최소치를 기록했다. 30대도 같은 기간 107만개에서 103만8000개로 감소했다.

신규채용은 기업 신설·확장으로 만들어지는 순수한 '새 일자리'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기업이 기존 인력 외에 추가 채용을 미루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업종별로는 제조업과 건설업에서 청년층 일자리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2분기 건설업의 30대 이하 신규채용은 18만7000개로 1년 전보다 3만2000개 줄었다.

제조업에서도 같은 기간 47만6000개에서 42만8000개로 4만8000개 감소했다. 두 업종에서만 사라진 일자리가 8만개로, 전체 감소분의 70%에 달한다.

고용 부진의 원인은 복합적이다. 경기 둔화와 미국 관세 장벽 등 대외 환경이 기업 투자심리를 위축시키는 가운데, 인구구조 변화와 인공지능(AI) 확산, 정년연장 논의 등 노동시장 구조 변화가 겹치며 청년층 신규채용 수요가 줄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키워드
#청년 #일자리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