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유플러스는 6G 시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는 통신·센싱 융합(ISAC) 기술을 주제로 '2025년 6G 백서'를 발간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백서는 2023년 첫 발간 이후 이어진 시리즈의 후속판으로, 기존의 데이터 전송 기능을 넘어 '환경을 감지하고 상호작용하는' 네트워크로 진화하는 6G 인프라의 방향성을 담았다.
ISAC는 통신 인프라를 센서처럼 활용해 스마트폰이나 기기를 지니지 않은 보행자, 도로 위 장애물, 공장 내 진동 등도 통신망을 통해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통신망이 단순한 데이터 전달 매체를 넘어 실시간으로 상황을 인지하고 반응하는 '센싱 인프라'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백서에서는 ISAC 기술의 △기술 원리와 구조, △레이더·5G 안테나 간 유사성, △단일·이중·다중 위치 기반 센싱 구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기반 센싱 시그널 등 핵심 개념을 다뤘다. 센싱 신호를 기존 통신에 결합함으로써 통신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고정밀 센싱이 가능하다는 점이 강조됐다.
LG유플러스는 통신사가 기존 인프라를 활용해 스마트시티·자율주행·XR·디지털 트윈 등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확장할 수 있으며, '서비스형 센싱' 모델을 통해 수익 다변화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실제 활용 시나리오로는 △센싱 기반 통신 최적화 △통신 기반 센싱 확장 △통신·센싱 융합 서비스 구현 등이 포함됐다. 각 사례에 필요한 KPI(위치 정확도, 지연 시간, 처리 용량 등)도 구체적으로 제시됐다.
또한 기술 기반으로는 △통신·센싱 융합을 위한 물리채널 설계 △AI 기반 자원 최적화 △차세대 RF·안테나 설계 △센싱 전용 시스템 아키텍처 △엣지 기반 분산 처리 △머신러닝 예측 기술 등을 언급했다. 특히 AI를 통한 자원 관리 효율화는 실시간성과 연산 부하 감소에 핵심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혜진 LG유플러스 기술전략담당은 "ISAC는 6G 시대의 게임 체인저로 통신 네트워크가 단순한 데이터 파이프를 넘어 세상을 감지하고 이해하는 지능형 인프라로 진화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이라며 "ISAC 기술 개발과 글로벌 표준화 활동으로 6G 시대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