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은 서울 강남구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호텔에서 '미래기술육성사업 2025 애뉴얼 포럼'을 개최했다고 7일 밝혔다.
미래기술육성사업은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는 도전적 연구를 통해 산업과 인류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삼성의 대표 사회공헌 활동이다. 삼성은 2014년부터 학계·산업계 전문가들이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토론할 수 있도록 애뉴얼 포럼을 운영해왔다. 올해는 해당 행사를 외부에 처음으로 공개하며 '미래과학기술 포럼'을 새롭게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의원,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 이주영 개혁신당 의원, 박승희 삼성 CR담당 사장, 장석훈 삼성 사회공헌총괄 사장을 포함해 국내 연구진과 학계 인사 약 400명이 참석했다.
삼성은 '기술중시' 철학에 따라 2013년부터 국내 민간 최초로 기초과학 연구 지원을 시작했다. 지금까지 총 1조50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12년간 880개 연구 과제를 선정하고, 1조1419억원의 연구비를 지원했다. 연구에는 91개 기관, 약 1만6000명이 참여했으며, 1200여 명의 교수와 1만4000명 이상의 이공계 대학원생에게 실험 장비와 재료비 등을 지원해왔다.
김현수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센터장은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기초과학과 산업기술 혁신에 기여하고, 세계적 과학 인재를 육성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며 "올해 포럼은 외부에 처음 공개한 자리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 사업은 단순한 자금 지원에 그치지 않고 과제 선정부터 성과 극대화, 기술 사업화까지 이어지는 'End-to-End' 방식의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65개 과제가 창업으로 이어졌으며, 서울대 윤태영 교수가 설립한 '프로티나'는 항체 스크리닝 플랫폼 기술 기반으로 지난 7월 코스닥에 상장됐다.
올해 포럼에서는 대표 성과 4건이 공개됐다. 전명원 경희대 교수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데이터를 활용해 표준 우주론의 한계를 지적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며, 김재경 KAIST 교수는 수면 생체리듬 분석 기술을 개발해 '갤럭시 워치8'에 적용된 'AI 수면코치'로 발전시켰다. 조용철 DGIST 교수는 신경 재생 연구로 마비 치료에 도전하고 있으며, 김장우 서울대 교수는 데이터센터 병목을 해소할 시스템 반도체 기술로 창업에 성공했다.
'미래과학기술 포럼'에서는 총 64개 주제가 발표됐다. 이 중 기초과학 4개 분야(수학·물리학·화학·생명과학)와 공학 6개 분야(전자소재·소자·통신/컴퓨팅·바이오/메디컬·에너지/환경·AI/로보틱스)에 대한 50개 과제 발표가 이뤄졌으며, '10대 유망기술' 및 '기초과학 분야 AI 활용'에 대한 특별 세션도 열렸다.
이날 국양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은 "미래기술육성사업은 국가 과학기술 성장의 기반을 만들었다"며 "연구자들이 연구에만 몰두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김성근 포스텍 총장은 "삼성은 도전적 연구를 하는 우수 연구자를 발굴하고 있으며, 이는 국가 과학기술에 대한 믿음의 결과"라고 강조했다. 박승희 삼성 CR담당 사장도 "삼성은 단기 성과보다 젊은 과학자의 장기적 성장을 우선해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은 '함께가요 미래로! Enabling People'이라는 CSR 비전 아래 청소년 교육 및 상생 협력 프로그램도 병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삼성청년SW·AI아카데미 △삼성드림클래스 △삼성푸른코끼리 △기능올림픽기술교육 외에도 △스마트공장 지원 △C랩 △ESG 펀드 △삼성 안내견 사업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