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용산사옥 전경.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용산사옥 전경.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3분기 연결기준 매출 4조108억원, 영업이익 1617억원의 잠정 실적을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5%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34.3% 감소한 수치다.

LG유플러스는 모바일 부문의 성장세와 전사 AI 에이전트 확산을 통한 업무 효율화, AI데이터센터(AIDC) 사업 성과에 따라 매출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희망퇴직에 따른 일회성 인건비 1500억원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일회성 비용을 제외한 실질 영업이익은 311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7% 증가했다.

서비스수익은 3조116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늘었다. 마케팅비용은 5852억원으로 5.2% 증가했으며, 서비스수익 대비 비중은 20.1%로 전년 동기와 유사한 수준이다. 설비투자(CAPEX)는 4381억원으로 2.2% 감소했다.

무선사업은 MNO·MVNO 가입 회선 증가와 5G 확산에 힘입어 5.6% 증가한 1조7114억원을 기록했다. 접속수익을 제외한 모바일 서비스수익은 1조6272억원으로 5.2% 증가했다. 전체 무선 가입회선은 전년 동기 대비 8.6% 늘어난 3025만9000여개로 3000만개를 돌파했으며, 이 중 MNO는 2120만여개(5.4% 증가), MVNO는 905만여개(16.8% 증가)로 집계됐다.

전체 MNO 핸드셋 가입자 중 5G 가입자 비중은 처음으로 80%를 넘어 81.6%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1.4%포인트 상승한 수치이며, 5G 핸드셋 가입자 수는 19.1% 늘어나 MVNO 증가율을 상회했다.

LG유플러스는 통합앱 'U+ONE'에 AI 검색 기능을 추가하고, 개인 맞춤 기능을 강화한 '익시오(ixi-O) 2.0'을 출시하는 등 AI 기반 MNO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또,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한 '2025년 디지털고객경험지수'에서 이동통신부문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스마트홈 부문은 기가인터넷 가입자 증가와 500Mbps 이상 회선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한 6734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기가인터넷 가입자 비중은 5.0%포인트 늘었고, 500Mbps 이상 상품 비중도 1.5%포인트 증가해 81.8%를 기록했다. 인터넷 매출은 3113억원으로 8.4% 증가했고, IPTV 매출은 0.4% 감소한 3342억원으로 집계됐다.

LG유플러스는 스마트홈 분야에도 AI 기반 기술을 적용해 품질 분석, 자가 조치 시스템, 현장 AI 비서를 도입함으로써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기업인프라 부문은 AIDC 사업 호조로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한 4279억원을 기록했다. 이 중 AIDC 매출은 평촌 2센터 가동률 상승과 데이터센터 설계·구축·운영(DBO) 사업 진출 영향으로 14.5% 증가한 1031억원을 달성했다. 직전 분기 대비로도 7.1% 증가한 수치다. 반면, 솔루션 부문 매출은 0.7%, 기업회선 매출은 2.2% 각각 감소했다.

LG유플러스는 파주에 AI 데이터센터를 새로 짓고, 코람코자산운용과 협업해 DBO 사업을 확대하는 등 AIDC 사업을 기업간거래(B2B) 성장의 핵심 축으로 삼고 관련 인프라와 솔루션 역량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여명희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최고리스크책임자(CFO·CRO)는 "이번 분기에는 희망퇴직에 따른 일회성 인건비 지급에도 불구하고, 모바일 부문의 성장세에 힘입어 견조한 실적을 기록했다"며 "앞으로도 AI 서비스 차별화를 통한 본원적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수익성 제고와 주주환원 강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기업가치 제고를 지향하겠다"고 말했다.

키워드
#LG유플러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