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두산로보틱스 이노베이션센터에서 진행된 협약식에서 김민표 두산로보틱스 대표(오른쪽)와 원유현 ㈜대동 부회장이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두산로보틱스
20일 두산로보틱스 이노베이션센터에서 진행된 협약식에서 김민표 두산로보틱스 대표(오른쪽)와 원유현 ㈜대동 부회장이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두산로보틱스

두산로보틱스는 대동과 '온디바이스 AI 기술 공동 개발 및 농산업 로봇 분야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스마트팜 및 실외 농업환경에 특화된 필드용 로봇 개발 △비정형 농업 환경에 적용 가능한 온디바이스 AI 기술 개발 및 상용화 △필드용 로봇의 글로벌 시장 개척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두산로보틱스는 모바일 매니퓰레이터(Mobile Manipulator, MoMa) 제품화를 목표로 로봇 팔 및 제어시스템 설계·제조와 로봇 모션 개발을 맡는다. 대동은 농업 현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율 이동 플랫폼을 설계·제조하고 실증과 고도화, 현장 안전 인증 및 해외 규제 대응 등을 담당한다.

MoMa는 자율주행로봇(AMR)과 로봇팔을 결합한 이동형 로봇으로 비정형 작업 환경에서도 복합 작업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양사는 향후 정부의 AI 시스템 온칩(System on Chip, SoC) 개발 과제 수주를 목표로 온디바이스 AI 기술 개발에도 협력할 예정이다. 온디바이스 AI는 클라우드 서버 없이 기기 내에서 인공지능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로, 빠른 응답 속도와 개인정보 보호에 강점이 있다.

두산로보틱스는 로봇에 탑재될 SoC의 성능, 기능, 인터페이스 등 핵심 요소를 규격화하고, AI 알고리즘과 펌웨어 개발을 주도할 예정이다.

김민표 두산로보틱스 대표는 "이번 협력을 통해 열악한 농업 현장에 적합한 로봇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며 "필드용 장비 개발 역량을 보유한 대동과 함께 빠른 시일 내 MoMa를 제품화해 글로벌 농업시장에 진출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