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 CI. 사진=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모빌리티 CI. 사진=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 개발자 컨퍼런스 ‘if(kakao)25’에 참여해 자율주행 및 내비게이션 분야의 AI 기술 개발 현황과 실제 적용 사례를 공유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컨퍼런스에서 카카오모빌리티는 △디지털트윈 지도 제작 자동화 △카카오 T 퀵 AI 주소 자동 붙여넣기 등 실사용 기반 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발표를 진행한다.

자율주행개발팀 박창수 테크 리더는 24일 '기술 심층 세션데이'에서 '자율주행 AI 실차 적용기: 서비스를 위해 우리가 만들고 있는 자율주행'이라는 주제로 발표에 나선다. 발표에서는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한 핵심 기술을 △차량 시스템 △AI 프레임워크 △관제 시스템 세 가지 축으로 설명하고, 운영 플랫폼 개발 과정과 실서비스 적용 경험을 공유한다.

박 리더는 또 자율주행을 위한 대규모 데이터 수집·처리, AI 학습 파이프라인, 알고리즘 검증·배포 체계화 과정을 소개하며, 배차·관제·원격 가이드 등 통합 운영이 가능한 플랫폼 구축 현황도 함께 발표할 예정이다.

AI 연구개발팀 김푸르뫼 연구원은 카카오내비에 멀티암드밴딧(MaB) 기반의 강화학습을 도입한 사례를 발표한다. 해당 기술은 경로 탐색 시 내비게이션이 고려하는 정보와 실제 주행 환경 간 불일치를 수치화하고, 이를 실시간 경로 탐색에 반영한 것이 핵심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실제 운전자 주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로별 '경로 준수율'을 산출하고, 이를 통해 도로의 '통행 가치'를 평가해 경로 탐색 알고리즘에 적용했다. 예컨대, 주정차 차량이 많거나 환승센터 인근 등 주행이 불편한 도로의 경우 안내 경로에서 배제해 실사용자 중심의 경로를 제시하는 방식이다.

이 연구는 내비게이션이 간과했던 도로의 잠재 특성을 반영하고, 상용 서비스에서 효과를 검증한 선도 사례로 주목받았으며, 관련 논문은 지난 7월 교통 분야 SCI급 학술지 'TRC(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Emerging Technologies)'에 게재됐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컨퍼런스 마지막 날인 25일, 그룹 개발자 간 기술 교류 장인 '기술자산 부스(데모스테이션)'에도 참여해 'AI 기반 디지털트윈 자동 지도 제작', '카카오 T 퀵 AI 주소 자동완성 체험' 등 자사 AI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부스를 운영한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이번 이프 카카오에서 소개한 기술들은 단순한 연구 수준을 넘어, 실제 서비스에 적용되며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있는 성과들"라며 "앞으로도 AI 기반의 혁신적인 모빌리티 기술을 통해 더욱 똑똑하고 안전한 이동 경험을 제공할 것"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