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한화자산운용.
사진=한화자산운용.

한화자산운용이 대한민국이 비교우위를 가진 차세대 핵심산업 3종에 투자하는 '한화 K방산조선원전펀드'를 14일 출시했다고 밝혔다. 해당 펀드는 FnGuide K방산조선원전 지수를 연동해 운용하는 인덱스 펀드다.

이 지수는 방산·조선·원전 각 산업별 상위 5개 기업을 40·30·30 비중으로 담는다. 유동시가총액 가중 방식을 적용해 개별 종목의 시가총액을 편입 비중에 반영하며 매 반기 리밸런싱을 진행한다. 리밸런싱 시 업종·종목별 비중 한도를 10%로 제한해 상승 종목 차익은 일부 실현하고, 비중이 낮아진 종목은 추가로 편입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K방산·조선·원전 산업은 글로벌 재무장 흐름과 친환경·AI 확산 등 환경 변화 속에서 장기 구조적 성장이 예상된다.

K방산은 뛰어난 생산능력과 가성비를 바탕으로 전 세계 방위비 증액과 재무장 기조에 힘입어 호황 사이클에 진입했다. 전문가들은 정치적 요인과 생산능력을 고려할 때 폭증하는 무기 수요를 감당할 나라는 사실상 한국뿐이며, 첨단 무기 도입이 어려운 국가들의 수요도 상당 부분 채울 것으로 전망한다. K방산은 유럽뿐 아니라 중동·남미 신규 시장 진출도 모색하고 있다.

K조선은 환경 규제 강화, 노후 선박 교체 시기 도래, 미국 정부 협력 요청 및 대중 제재라는 세 가지 동력에 힘입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은 LNG 수출에 집중하지만 자체 LNG 운반선 건조 능력이 없어 국내 조선사에 신규 함정 건조·MRO 등 협력을 요청하고 있다. 이는 미국 LNG 사이클과 맞물려 장기 성장 가능성을 높인다.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노후 선박 교체 수요가 겹치면서 LNG 운반선·특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에 강점을 지닌 국내 조선사 5곳이 실적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원전 산업은 AI 확산에 따른 전력 수요 급증과 에너지 안보 확보 필요성 속에서 부각되고 있다. 탈원전 기조로 건설 경험을 잃은 주요국과 달리 K원전은 표준화된 시공 능력과 안정적 설비 조달 역량으로 경쟁력을 확보했다. 특히 공간 제약이 적고 안정성이 높은 SMR(소형 모듈형 원자로)에 대한 관심 확대로 국내 공급망 기업들의 글로벌 역할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최영진 한화자산운용 CMO는 "방산·조선·원자력 산업은 모두 글로벌 공급망 개편 등 국제 질서 변화에 따라 구조적 성장 구간에 들어섰다"며 "한화 K방산조선원전펀드는 성장 잠재력이 크고 우리나라가 경쟁 우위를 지닌 산업에 효율적으로 장기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