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본사 전경. 사진=한화
한화 본사 전경. 사진=한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추진 중인 유상증자가 증권신고서 정정 끝에 마무리 국면에 들어섰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금융감독원의 정정 요구에 따라 증권신고서를 세번째로 수정한 가운데, 유상증자 증권신고서의 효력이 오는 29일 발생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당초 계획한 자금 조달이 순조롭게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번 유상증자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마련한 대규모 자금 조달 계획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당초 지난 3월 3조6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했으나 한화오션 지분 매입과 관련한 논란과 금융감독원의 정정 요구 등을 거치며 증자 규모를 2조3000억원으로 축소했다. 대신 한화에너지 등 계열사가 참여하는 1조3000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증자로 일부 자금을 조달하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그룹 오너일가의 지분 승계도 병행되며, 경영권 승계 논란 해소를 위한 조치가 이뤄졌다는 해석도 나온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두차례에 걸쳐 증권신고서 정정을 요구했다. 자금 사용처에 대한 구체성과 계열사 간 거래 구조의 투명성이 부족하다는 점이 문제로 꼽혔다. 금감원은 자금이 실제로 어떻게 쓰일 것인지, 내부 자금 순환 가능성은 없는지 등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요구했고, 이에 따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정정신고서를 제출하며 보완에 나섰다.

금감원은 이번 유상증자가 단순한 계열사 인수를 넘어 그룹 전체의 사업 재편과 자산 구조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안인 만큼, 보다 투명한 공시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까지 금감원의 추가적인 정정 요구는 없는 상태다. 유상증자 신고서의 효력은 오는 29일 발생할 예정이나, 변동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는 상황이다. 효력 발생이 지연될 경우 청약 일정은 물론 전체 자금 조달 계획에도 차질이 불가피하다.

시장에서는 반복된 정정 요구가 투자자들의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통상 유상증자는 미래 성장 투자에 필요한 자금을 외부로부터 조달하는 수단이지만, 정보공시가 불투명하거나 내부 거래 구조가 복잡하면 투자자들의 외면을 받을 수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유상증자 목적이 단기 유동성 확보가 아니라 미래 전략산업에 대한 선제적 투자임을 강조하고 있다. 확보한 자금은 위성, 항공기, 엔진 등 고부가가치 사업 분야에 투입되며, 국내 방산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KAI 인수도 같은 맥락에서 추진되고 있으며, 방산 부문에서 '종합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과제로 꼽힌다.

증권신고서가 최종 수리되고 유상증자가 예정대로 진행된다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단순한 자금 확보를 넘어 그룹 전체의 방산 전략 완성에 한 발 더 다가설 수 있게 된다. 

업계 관계자는 "증권신고서 정정 과정에서 공시 투명성을 높인 만큼 안정적 자금 조달과 향후 전략 추진에 속도가 붙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