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을 포함한 주요 교역국에 대해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하고 10%의 기본관세만 적용하기로 한 데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9일(현지시간) 주미대사관에서 열린 특파원 간담회에서 "이번 유예 조치는 향후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지속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 국내 산업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여지를 확보한 것"이라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다만,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대해 1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한 데 대해선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중국 수출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미국 수출길이 막힌 중국산 제품이 제3국을 경유해 한국 등으로 유입되는 이른바 '풍선효과' 가능성도 존재한다"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신속한 대미 협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번 방미 기간 동안 미국무역대표부(USTR), 재무부, 상무부 등과 협의를 진행하며, 이들 기관이 향후 한국과의 관세 협상을 공동으로 추진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 본부장은 전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트럼프 대통령 간의 전화통화를 언급하며 "한미 간 관세 논의를 이어갈 수 있는 우호적인 모멘텀이 조성됐고, 협상을 위한 큰 틀이 마련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미국과의 협상은 단기간 내 마무리되는 일이 아닐 것"이라며 "지속적인 대화와 끈질긴 설득, 그리고 민관의 협력이 어우러져야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 본부장은 방미 중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나 한국에 부과된 철강 및 자동차 부문 25% 상호관세에 대한 인하와 '특별 대우'를 요청했다.
또한 윌리엄 키밋 상무부 국제무역 차관 내정자, 제프리 케슬러 산업안보국(BIS) 차관과의 면담에서는 미국의 품목별 관세에 대한 우려를 전달하고, 미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에 대한 안정적 투자 환경 조성과 공급망·경제안보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