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산그룹의 지주사인 ㈜두산이 이사보수 한도를 상향 조정하면서 그 배경과 적정성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7일 재계에 따르면 두산은 오는 31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이사 보수총액 한도를 기존 150억원에서 280억원으로 130억원 증액하는 안건을 상정한다.
두산 관계자는 "2022년에 부여된 임원 장기성과급 RSU(양도제한조건부주식)의 주가 상승으로 평가액이 높아져 이번 주주총회에서 보수한도를 상향 조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두산은 장기인센티브로 RSU를 운영하고 있으며, 박정원 회장과 임원들은 일부 보수를 과거에 부여받은 RSU를 수령한 것으로 알려졌다.
RSU는 부여 후 의무재직 등의 조건이 충족되면 지급되며, 실제 지급되기 전까지 보수지급액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룹 총수인 박정원 두산 대표이사 회장은 지난해 RSU 등을 포함한 두산의 이사 보수 실지급 총액 150억원 중 76.6%를 차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박 회장의 보수는 급여 34억700만원과 상여 79억5600만원을 포함한 총 113억6300만원에 달했다. 이는 전문 경영인 사내이사 보수의 5배를 초과하는 금액이다.
지난해 김민철 대표이사 사장과 문홍성 대표이사 사장은 각각 21억2700만원, 9억58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이번 주주총회에서 이사 보수 한도 조정 안건이 통과되면 박 회장의 보수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두산이 그룹 총수의 특권적 대우를 강화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국내 의결권 자문사 좋은기업지배구조연구소(연구소)는 "지배주주 보수가 다른 전문경영인에 비해 과도하게 높거나, 계열사 임원으로 겸직하면서 중복 보수를 수령하는 경우 합리성과 공정성이 결여된 것"이라며, 이사보수 한도 상향에 반대할 것을 권고했다.
또한, 두산이 독립적인 보수 심의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이사회가 보수체계를 심의하고 의결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연구소는 주식기준보상 부여계획에 대한 공시 부족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연구소는 "2024년에도 38명에게 RSU 8만7863주를 새로 부여했으나, 주식기준보상 부여 계획이 이사보수한도 의안에 포함되지 않았다"며 "주주들이 보상의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별도로 기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산그룹의 이사 보수 한도 상향 안건에 대한 반대 입장이 제기되면서, 주주총회에서 이 안건이 어떻게 처리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