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김영은, 김지평, 언메이크랩, 임영주 작가. 사진=국립현대미술관
왼쪽부터 김영은, 김지평, 언메이크랩, 임영주 작가. 사진=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은 SBS문화재단과 공동 주최하는 '올해의 작가상 2025' 후원작가로 김영은, 김지평, 언메이크랩, 임영주 등 4명(팀)을 선정했다고 24일 밝혔다.

'올해의 작가상'은 매년 후원작가 4명을 선정해 신작 제작과 전시 기회를 주고 이 중 1명을 최종 수상자로 뽑는다.

김영은은 소리와 청취가 특정한 역사적 맥락에서 어떻게 구성되고 발전되는지를 탐구하는 작업을 해왔다. 이번 전시에서는 이주와 이산의 경험을 지닌 특정 커뮤니티의 청취 방식을 탐구하는 신작 등을 제작할 예정이다.

김지평은 동양화의 개념과 기법에 들어있는 전통적 세계관을 비평적으로 해석해 온 작가로, 이를 통해 남북 분단의 현실, 여성의 몸, 자연과 행성 등의 주제를 서구 중심의 근대성 밖에서 사유한다. 최근에는 병풍·족자·화첩 등의 의미를 동시대 언어로 활성화하는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최빛나와 송수연으로 구성된 콜렉티브(작가집단) 언메이크랩은 한국 발전주의 역사와 인공지능 요소를 교차하며 현재의 사회·생태적 상황을 사변적 풍경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이들은 현대 기술에 내재된 인간 중심적 사고를 비트는 구작과 함께, 기술적 비장소(non-places)의 위태로움을 탐구하는 신작을 함께 선보인다. 

임영주는 한국 사회에서 미신과 종교적 믿음이 형성·수용되는 과정을 관찰하고 이를 복합적인 매체로 전달해 왔다. 국립현대미술관에 따르면 돌, 금, 바위, 바람, 새와 같은 자연 요소가 믿음의 대상이 되는 경로는 확실성, 합리성과는 거리가 멀다.

임 작가는 이런 '불확실한 믿음'을 과학기술의 발전과 견주어 보며 현실 너머를 상상하고 나아가 죽음, 종말, 외계에 대한 실존적 차원의 이야기를 새롭게 구성한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서울관에서 8월 29일부터 내년 2월 22일까지 후원 작가들의 구작과 신작을 전시한다. 후원작가들에게는 각각 5000만원의 창작 후원금이 지원된다. 전시 기간 공개좌담회와 2차 심사를 통해 발표될 최종 수상작가는 '2025 올해의 작가'로 공표되고, 상금 1000만원을 추가로 받는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