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는 지난 15일부터 5일 동안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UN 산하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IGF)'에 참석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국제 포럼은 인터넷과 디지털 이슈에 대한 글로벌 이해관계자의 협력을 도모하고 정책적 공조를 강화하기 위해 매년 개최된다. 올해는 '다중 이해관계자의 디지털 미래 설계' 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175개국에서 9000명 이상의 인터넷·IT 전문가 등 이해관계자들이 자리했다.
카카오는 18일 '인권보호를 위한 AI의 활용' 세션에 참여했다. 윤혜선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해당 세션의 사회를 맡았고 정재관 카카오 기술윤리 리더를 비롯해 황용석 건국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 교수, 레이첼 리(Rachel Lee) AWS 싱가포르 경제 및 AI 정책 책임자, 샤타이 피커라(Çağatay Pekyörür) 아프리카·중동·터키 지역사회 참여 및 지원 책임자 등이 함께 발제했다.
카카오는 이 자리에서 △ 공공 혁신을 위한 토종플랫폼의 노력 △ 그룹 차원의 기술윤리 실행 △ 디지털 안전 제고를 위한 활동 등을 소개했다.
이날 카카오는 공공혁신을 위한 노력으로 메신저 '카카오톡'을 통해 공공정보를 제공한 사례를 소개하고 토종 플랫폼이 국민의 안전과 편의에 기여했다고 강조했다. 카카오톡 알림톡, 전자문서 등을 활용해 기존의 우편 전달과 같은 행정 방식을 디지털 전환하며 편의성과 접근성을 높여 공공서비스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데 일조했다는 설명이다.
또 카카오는 그룹 기술윤리 소위원회를 구성해 그룹 차원에서 기술 윤리를 실행할 수 있게 체계를 구축하고 기술윤리와 유관 정책을 통합·관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비스 출시에 앞서 안전성 강화를 위한 '핵심 체크리스트'를 개발하는 등 기술의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점검, 대응하고 있다.
또 'AI 윤리 원칙'을 수립하고 신규 규칙 조항을 신설하는 등의 디지털 안전 제고를 위한 활동도 적극 실천 중이라고 전했다.
정재관 카카오 기술윤리 리더는 "카카오는 이용자의 인권을 보호에. 기여하는 등 디지털 플랫폼으로 수행해야 할 사회적 책무를 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공공혁신이 보다 활발해지고, 플랫폼 이용자가 더 안전하게 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력해 나아가겠다"고 다짐을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