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화학이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2조6704억원 영업이익 4984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6.1%, 영업이익은 42.1% 각각 감소했다.
LG화학 CFO 차동석 사장은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 당사가 보유한 우수한 공정 기술 기반의 원가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 차별화된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며 "치열한 효율성 제고와 함께 성장 동력 사업을 잘 준비해 미래 성장 기회를 선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업부문별 실적을 살펴보면 석유화학부문은 매출 4조8132억원, 영업손실 382억원을 기록했다. LG화학은 원료 가격, 운임 비용의 일시적인 증가와 환율 하락의 영향으로 소폭 적자를 기록했지만 4분에기는 원료가 하락에 따른 원가 개선과 신설 공장 가동율의 상승, 구미주 판매 물량 확대로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첨단소재부문은 매출 1조7124억원, 영업이익 1502억원을 기록했다. 전지재료의 출하량, 판매 가격 소폭 하락과 환율 변동의 영향이 있었다. LG화학은 4분기 고객사의 연말 재고 조정과 전자소재의 계절적 비수기 진입으로 매출 및 수익성 확대는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생명과학부문은 매출 3071억원, 영업손실 9억원을 기록했다. 당뇨, 백신 등 주요 제품의 제품 출하 호조를 나타냈지만 연구개발(R&D) 비용 증가로 소폭 적자를 기록했다. 4분기는 주요 제품의 견조한 성장이 전망되나, 글로벌 임상 과제 진척에 따른 R&D 비용 증가 영향으로 수익성 하락이 예상된다는 게 LG화학 측 설명이다.
배터리 사업을 담당하는 자회사 에너지솔루션은 매출 6조8778억원, 영업이익 4483억원을 기록했다. 유럽 고객사의 수요 회복과 북미 생산 증가로 매출이 증가했으며, 물량 확대로 인한 가동률 상승과 메탈 가격 안정화로 수익성이 개선됐다.
자회사 팜한농은 매출 1128억원, 영업손실 196억원을 기록했다. 작물보호제의 국내 판매가 소폭 증가했으나 저수익 비료 화공사업 중단 영향으로 적자를 기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