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 개발자 콘퍼런스 '이프 카카오(if kakao AI 2024)'에 참여해 기술 비전을 공유한다고 23일 밝혔다.
이 콘퍼런스는 카카오 전 계열사 개발자가 참여해 기술 역량을 소개하는 자리로, 지난 2018년부터 개최되고 있는 그룹 차원의 연례행사다. 올해 6회째를 맞아 경기 용인시에 위치한 카카오AI 캠퍼스에서 22일부터 24일까지 3일간 열린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행사 기간 동안 총 6개 세션에 참여해 발표를 진행한다. 올해 퍼런스의 핵심 주제인 '인공지능(AI)'에 맞춰 미래 모빌리티 기술과 서비스 비전을 행사 참가자들과 함께 공유할 예정이다. 자율주행이나 로봇 배송과 같은 미래 이동 AI 기술을 비롯해 웹접근성 개선 사례 등을 발표한다.
우선 카카오모빌리티 장성욱 미래이동연구소장이 오는 24일 오전 10시부터 진행되는 'AI 라이프 테크' 세션에서 '일상 속 AI 디바이스'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해당 세션에서는 카카오모빌리티의 자율주행, 로봇 배송서비스 '브링(BRING)' 등 AI 디바이스에 적용된 AI 기술과 실제 서비스 현황을 집중적으로 설명할 예정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기술 개발과 서비스 개선 과정을 공유하는 세션 발표도 함께 진행한다. 개발자 콘퍼런스에 걸맞게 AI 기술과 데이터 분석을 토대로 업무 생산성을 높인 사례를 선별했다.
우선 23일 오후 1시부터 최종선 카카오모빌리티 플랫폼개발실 매니저가 '접근성 작업을 도와주는 ESlint 플러그인 개발기'를 주제로 발표에 나선다. 웹 개발자들이 장애인이나 고령자들이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비장애인과 똑같이 이용할 수 있도록 ‘웹접근성’의 표준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며 코드를 작업할 때 이를 자동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최적화 플러그인을 만든 사례다.
행사 마지막 날인 24일 오후 2시에는 카카오모빌리티 픽커개발팀이 '무엇이든 되는 로봇 배송! 진짜 되는 플랫폼 이야기'라는 제목의 세션을 열고 로봇 배송 플랫폼 '브링온(BRING-ON)'을 소개한다. 브링온은 식품, 음료, 문서, 택배 등 다양한 품목과 서로 다른 기종의 로봇을 연동할 수 있게 해주는 로봇 오픈 API 플랫폼이다.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이동연구소장은 "국내 대표 모빌리티 기업의 AI 기술 역량과 비전을 다양한 참가자들과 공유하는 뜻깊은 시간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사람이 더 가치 있는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현재의 이동'을 넘어 '미래의 이동'을 위한 혁신 AI 기술과 접목 사례를 계속해서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