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사이언스와 독일의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 클로케(Klocke) 그룹이 CMO(위탁생산) 및 CDMO(위탁개발생산) 전문 회사 IDT 바이오로지카(Biologika) 경영권 지분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 (왼쪽부터) SK바이오사이언스 안재용 사장, 독일 클로케그룹 카르스텐 클로케(Carsten Klocke) CEO. 사진=SK바이오사이언스
SK바이오사이언스와 독일의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 클로케(Klocke) 그룹이 CMO(위탁생산) 및 CDMO(위탁개발생산) 전문 회사 IDT 바이오로지카(Biologika) 경영권 지분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 (왼쪽부터) SK바이오사이언스 안재용 사장, 독일 클로케그룹 카르스텐 클로케(Carsten Klocke) CEO. 사진=SK바이오사이언스

 

SK바이오사이언스가 백신 위탁생산 글로벌 Top 10 수준의 독일 기업을 인수한다. 인수 대상은 총 6560억원 규모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번 기업 인수를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새로운 동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독일의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 클로케(Klocke)그룹과 CMO(위탁생산) 및 CDMO(위탁개발생산) 전문 회사 IDT 바이오로지카(Biologika) 경영권 지분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IDT 바이오로지카는 1921년 설립돼 100년 이상의 축적된 전문성과 역량을 갖춘 기업으로 평가받는다. 독일 멀츠의 보툴리눔 톡신 제품 '제오민'을 위탁생산한다. 얀센과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을 위탁생산한 이력이 있다. 독일과 미국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대형 바이오 기업으로, 미국, 유럽뿐 아니라 10개 이상의 핵심 의약품 규제기관으로부터 인정받은 트랙 레코드(Track record)를 보유하고 있다. 공정∙분석법 개발과 함께 임상부터 상업 단계까지 백신∙바이오 전 영역의 원액 및 완제를 생산하고 있다. 직원 규모는 1800여명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독일에 설립된 100% 자회사를 통해 클로케 그룹이 보유한 IDT 바이오로지카 구주 일부와 유상증자를 통해 발행되는 약 7500만 유로(한화 약 1120억원)의 신주를 취득한다. 둘을 합치면 회사 지분 60%를 약 3390억원에 취득키로 했다. 주식 취득 완료 시 SK바이오사이언스는 IDT 바이오로지카의 최대주주가 된다. 

클로케그룹 또한 IDT 바이오로지카 지분 40%를 유지하는 동시에 약 760억원을 투자해 SK바이오사이언스 지분 1.9%를 신규 확보할 예정이다. 결과적으로 SK바이오사이언스는 약 2630억원의 보유 현금으로 인수 절차를 마무리하게 된다.

향후 SK바이오사이언스와 클로케그룹은 IDT 바이오로지카를 공동 운영한다. 

이번 딜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이 글로벌 백신 위탁생산 Top 10 수준의 회사를 매력적인 가격에 인수한 주목할 사례로 평가받는다. 기업 가치(Enterprise Value) 6560억원 규모 기업의 지분 인수 거래는 국내 백신 산업 역사상 최대 투자다. 

이를 통해 SK바이오사이언스는 △즉각적인 2배 수준의 매출 신장 △미국, 유럽 등 선진국 기준의 품질을 충족하는 생산 역량과 고객 네트워크 확보 △미국과 유럽, 한국 등 글로벌을 잇는 통합 인프라 구축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또 IDT 바이오로지카를 통해 △최고 수준 제조·R&D 인프라 즉시 확보 △넥스트 팬데믹 대응 위한 글로벌 공급망 확장 △뉴 바이오(New Bio) 사업 즉각 진출 및 잠재적 생산 기반 확대 등을 기대하고 있다.

클로케그룹 카르스텐 클로케(Carsten Klocke) CEO는 "IDT 바이오로지카의 노하우와 전문성, 확고한 고객 파트너십에 신뢰를 준 SK바이오사이언스와 함께 미래를 만들 수 있어 매우 기쁘다"며 "IDT 바이오로지카가 전 밸류 체인에 걸쳐 우수한 인재를 육성하고 원료의약품(DS) 생산 및 대량 충전을 포함한 제조 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많은 투자를 해 왔다. 양사의 전문성과 상업적 역량을 기반으로 글로벌 보건 증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 안재용 사장은 "이번 지분 인수 거래는 회사의 새로운 성장 축을 마련하고 핵심 사업과 제품들의 선진국 및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는 데 주요 목적이 있다"며 "즉각적 매출 확보, 글로벌 거점 마련, 효율적 생산 시설 확보 등 투자 대비 높은 사업적 가치를 지닌 지분 인수인 만큼 기업가치도 함께 제고될 수 있도록 시장과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