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허선호 미래에셋증권 대표가 고용노동부가 주관한 퇴직연금 성과점검과 제도개선 간담회에서 DC제도 활성화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했다. 

20일 고용노동부는 2023년 퇴직연금 우수사업자와 가입고객을 초청하여 현재 퇴직연금 성과를 점검하고 제도개선을 위한 고객 간담회를 실시했다. 간담회에는 고용노동부 장관, 금융감독원장, 근로복지공단 이사장이 총출동하여 퇴직연금의 현주소와 개선사항에 대해 심도 있는 얘기를 나눴다.

퇴직연금 우수사업자로 참석한 허선호 미래에셋증권 부회장(대표이사)은 “퇴직연금 시장에서 DB형 비중이 높다"며 "가입자들이 안심하고 DC제도를 활용하여 노후자산을 증대할 수 있도록 제도적, 운영적 측면의 보완점을 퇴직연금 사업자들이 함께 검토해 보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DB 규모는 205조원, DC는 101조원으로 DB 규모가 DC에 비해 2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퇴직연금 시장의 성장세는 DC와 IRP 시장의 선전에 달려 있다고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다만 근로자가 DC 퇴직연금을 직접 운용하기에는 시간적, 지식적 제약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DC제도를 활성화해 연금자산 투자의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포트폴리오서비스(로보어드바이저, 디폴트옵션 등)와 같은 디지털 환경에 최적화된 자산관리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한편, 지난 2021년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며 퇴직연금 사업자 평가가 의무화됐다. 주요 발언자인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고용노동부의 사업자 평가에서 유일하게 2년 연속 우수 사업자로 선정된 곳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