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보험협회 CI. 사진=생명보험협회
생명보험협회 CI. 사진=생명보험협회

생명보험협회는 31일 15개 생명보험회사 및 GA 자회자 소속 생명보험 설계사 1400명을 대상으로 '2023년 직업인식 및 만족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생명보험 설계사의 연 평균 소득은 5563만원으로 2021년(4875만원) 대비 14% 가량 증가했다. 또한 경력이 늘수록 소득이 상승해 14~19년차에서 최고치(평균 8030만원)를 기록했다.

1억 이상 고소득 설계사 비율이 15.7%인 반면, 경력 2년 미만 저연차 설계사의 평균 소득은 3100만원대로 상대적으로 낮게 조사됐다. 

영업경비(교통비, 식비, 3만원 미만의 선물 등)는 평균 32.9%를 지출했고 생명보험 설계사 직업에 대한 현재 만족도는 67.9점으로 ’21년 결과(63.0점) 대비 4.9점 상승한 결과를 보였다.

만족도는 2021 한국의 직업정보 재직자 조사(고용노동부)’결과와 비교할 때 전체 직업군의 전반적 직업 만족도(63.2점)나 경영·사무·금융·보험직의 직업 만족도(67.2점)보다도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만족’응답(61.7%)이 ‘불만족’응답 비율(6.0%)보다 10배 이상 높게 나타났고 요소별로 만족도를 물어본 결과 시간 활용·동료 관계·활동 형태·소득에 대한 만족 수준이 매우 높았다.

아울러 사회적 평판 요소에 대해서만 ‘불만족’ 응답 비율(27.5%)이 ‘만족’ 응답 비율(26.6%)보다 높게 나타났다. 향후 생명보험 수요에 대해 ‘줄어들 것’이라는 응답은 33.5%인 반면, ‘늘어나거나 현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은 66.5%이었다.

향후 생명보험 설계사 희망 근속 기간에 대해서는 ‘15년 이상’이라는 응답이 34.6%, ‘10년 이상 15년 미만’이라는 응답이 21.1%으로 나타났다. 설계사 경력에 따른 차이가 뚜렷했는데 경력이 늘어날수록 희망 근속 기간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보험 설계사 10명 중 7명(68.7%)은 보험 상담 진행시, ‘보장내역 및 보장금액’을 상품 추천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설계사 소득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판매 수수료’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다는 응답은 1.4%에 그쳤는데 표본 배분은 회사별 소속 설계사 규모·활동 지역·경력 등을 고려한 비례할당 방식을 적용했다.

연령대별로는 40~50대가 전체 응답자의 64.7%를 차지했다. 등록기간(경력)별로는 경력 5년 이하의 설계사가 41.5%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평균 경력은 11.3년이었다.

응답자 성별은 남성이 18.8%, 여성이 81.2%였고 생명보험 설계사 소속 유형별로는 생명보험회사 전속 설계사가 66.2%, GA 자회사 소속 설계사가 33.8%였다.

응답자 활동 지역은 수도권이 45.3%로 가장 많았으며 경상권이 27.9%를 기록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