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 아이오닉5(6만680대)와 기아 EV6(4만6652대)가 전량 무상수리에 들어간 지 얼마 되지 않아 기아 EV9도 후륜 구동전동기 제어장치 소프트웨어 설계오류로 리콜조치 됐다. 대상 차량은 2023년 5월8일부터 7월28일까지 생산된 8394대 전량이다.
EV9은 출시를 앞두고 진행된 미디어 시승회에서 전원공급 차단이 되는 현상을 인지했으나 이를 순간 오류로 인식하고 출시를 진행했다. 이후 주행 중 멈추어 선다는 문제가 잇따라 제기되면서 논란은 켜졌고, 이에 지난 9일 국토교통부가 기아 EV9을 리콜 조치했다.
국토부 발표에 따르면 ICCU 결함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원인은 후륜 모터 제어장치 소프트웨어 설계 오류다. 이에 따라 통신 불량이 발생하고, 모터에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주행 중 차량이 멈춰 서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아는 이달 10일부터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리콜을 진행한다.
앞서 아이오닉5∙EV6도 주행 중 동력공급 차단되면서 멈춰서는 현상으로 리콜돼 처리 중에 있는 것으로 안다. 그런데 최근 개발된 대형 SUV인 기아 EV9도 같은 증상이 발생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반복된다면 현대차그룹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기아가 신차를 출시할 때 좀 더 신중한 품질 검증이 필요할 때인 것 같다. 소비자들은 한번은 용납이 돼도 두번 세 번 반복되면 지금까지 어렵게 쌓아온 신뢰도는 한순간에 나락으로 떨어질 것이다"며 "문제점은 빨리 시정하고 앞으로 신차 출시 전 다양한 테스트를 세심하게 거쳐 최상의 상품을 소비자에게 인도를 해주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10월 '소프트웨어로 모빌리티의 미래를 열다(Unlock the Software Age)' 행사에서 공개한 SDV 개발 비전에 따라 차량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역량을 집중한다라고 밝힌 바 있다. 또 지난 6월에는 전동화 체제 전환 전환과 SDV 가속화 등 급변하는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연구개발본부 조직을 개편하기도 했다.
- 정의선 회장 "印 시장서 퍼스트 무버 입지 구축…R&D 전략 현장 점검"
- 현대차그룹, KOTITI시험연구원과 스타트업 지원 MOU
- 현대차그룹, 텐스토렌트에 5000만달러 전략 투자…'맞춤형 반도체 확보'
- 현대차그룹, 국내 5개 대학과 '탄소중립 공동연구실' 설립
- 현대차그룹, 수해지역 복구 위해 지원 나서
- 현대차그룹·서울대 '공동연구센터' 개관…'전고체 등 차세대 배터리 개발'
- 현대차·기아 "'나노'는 미래 키워드"…자가치유·태양열 충전 등 6가지 공개
- 현대차그룹, 집중호우 피해 복구 성금 30억원 전달
- 현대차그룹, 2023년 하반기 '제로원 액셀러레이터' 스타트업 모집
- '동력상실·감소 증상' 현대차·기아, 전기차 6종 13만대 무상수리
- 현대차, 동해서 'N 비치 시즌 2' 개최…'고성능 N브랜드 체험'
- '안전 부적합'에 187억원 철퇴…국토부, 르노·벤츠 등 19개社 과징금
- 법인 업무용승용차 '연두색번호판' 도입…내년 1월부터 시행
- 국토부, 벤츠·BMW 등 4개사 1만981대 자발적 시정조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