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에셋생명은 올해 1분기 순이익이 135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81% 증가했다고 23일 밝혔다.
보험손익은 438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5.8% 증가했고 우호적인 금융시장 환경에 힘입어 937억 원의 투자손익도 달성했다.
미래에셋생명은 1분기 실적과 관련해 "2016년부터 보장성 보험으로 대표되는 고수익 상품군과 안정적 운영수수료가 발생하는 변액보험의 투트랙 전략을 펼쳐왔다"며 "10년납 중심의 저해지 종신, 변액종신 및 '헬스케어 건강생활보험'과 같은 고수익 건강보험 상품을 주력으로 판매해 실적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보험사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계약서비스마진(CSM)은 올 3월 말 기준 2조70억원으로 이 중 신계약 CSM이 572억으로 집계됐다. 보유 CSM에서 사망, 건강, 변액사망 등 보장성 보험의 비중은 80%로 나타났다. 자본건전성을 가늠할 수 있는 신지급여력비율(K-ICS)도 연결기준으로 1분기 220%를 전망했다.
미래에셋생명은 고수익 매출 구조의 정착과 업계 환경 변화에 최적화된 경쟁력으로 실질 기업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며 향후 K-ICS 비율을 180~220% 수준으로 관리해 IFRS17제도 안정화에 대비할 계획이다.
한편 변액보험과 퇴직연금 등 Fee-Biz 자산의 비중이 높은 미래에셋생명의 변액보험 적립금은 금융시장 회복의 영향으로 지난해 말 대비 6000억원 증가했다. 대표적 자산분배펀드인 MVP60펀드의 경우 불안정한 금융시장 상황에도 누적 수익률 46%를 기록했다.
배수동 미래에셋생명 경영혁신본부장은 "하반기에는 금융권의 고금리 저축 및 예금 상품이 줄어들어 변액투자형 상품의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미래에셋생명은 앞으로 투트랙 전략을 꾸준히 실천해 새로운 업계 환경변화에도 건전한 자산 구조 및 성장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영업과 판매 프로세스 개선과 규모의 경제 확보를 통한 질적, 양적 측면 모두 괄목할만한 성장을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 미래에셋생명, 독서 꿈나무 키우는 '나만의 책꿈터'
- 미래에셋생명, 독거노인 위한 '행복울타리' 후원 7년째 이어가
- 미래에셋생명 신입사원, '마음나눔 행복드림' 봉사활동 진행
- 미래에셋생명, '제1회 A.I. 콘텐츠 어워즈' 시상식 개최
- 미래에셋생명, 각종 AI 기술로 생보업계 '메기' 부상
- 미래에셋생명, 쉽고 저렴한 '헤리티지 종신보험' 출시
- 소통에 진심 미래에셋생명, '고객동맹자문단 간담회' 개최
- 건기식 구매하면 보험이 무료? 미래에셋생명, '지엠팜케어' 출시
- 미래에셋생명, '가자고' 앱에 업계 최초 아이템 형태 '임베디드 보험' 출시
- 변액보험 '올인' 변재상 미래에셋생명 대표에 쏠린 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