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군산시 새만금국가산업단지 모습. 사진=LG화학
전라북도 군산시 새만금국가산업단지 모습. 사진=LG화학

LG화학이 전지 소재 공급망 강화에 나섰다. 중국 화유코발트와 손잡고 새만금국가산업단지에 1조 2000억원을 들여 전구체 공장을 건설, 이를 기반으로 양극재 수직 계열화를 강화하고 안정적인 소재 공급망 구축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LG화학은 오는 19일 새만금개발청, 화유코발트, 전라북도·군산시·한국농어촌공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전라북도 군산시에 있는 베스트웨스턴호텔에서 전구체 공장 투자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 

합작사 설립을 추진 중인 LG화학과 화유코발트는 이번 협약으로 오는 2028년까지 총 1조2000억원을 투자해 새만금산단6공구에 전구체 공장을 세운다. 올해 착공을 목표로 2026년까지 1차로 5만톤 양산 체제를 구축한다. 2차로 5만톤 생산 설비를 증설해 연간 10만톤 규모의 전구체를 생산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양사는 새만금 공장에 메탈을 정련하는 설비를 만들어 전구체 소재 '황산메탈'도 생산한다.

전구체는 니켈·코발트·망간 등을 섞은 화합물로 배터리의 심장인 양극재를 만드는 데 쓰이는 핵심 소재다. 전구체 10만톤은 전기차 100만여 대(500km 주행 가능한 75kWh 용량 기준)에 필요한 양극재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

글로벌 전지 소재 공급망 변화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국내에서 메탈 정련이 가능해지고 전구체 생산 능력을 확대하며 원재료 공급 안정성을 한층 높이게 됐다고 LG화학은 설명했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새만금 전구체 공장을 기반으로 양극재 수직 계열화를 강화하고 안정적인 소재 공급망을 구축해 나갈 것"이라며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세계 최고 종합 전지 소재 회사로 도약할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