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인 2009년 1분기(5900억원) 이후 14년만에 1조원 밑으로 떨어졌다. 글로벌 경기침체로 가전과 IT제품 소비 감소로 인한 반도체 수요 부진과 가격 하락 등 영향이 컸다. 삼성은 메모리 반도체 감산도 공식화했다.
삼성전자는 7일 연결기준 1분기 잠정 매출 63조원, 영업이익 60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1년 전과 견줘 매출은 19%줄었고 영업이익은 무려 95.75%나 줄었다.
시장 기대치에도 못미치는 성적이다. 증권사들이 전망한 삼성전자의 1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1조원이다.
사업부문별 구체적인 수치는 이달 말 발표할 예정이다. 증권업계서는 반도체를 담당하는DS부문의 실적 감소가 전자 실적 감소로 이어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동희 SK 증권 연구원은 "반도체 수요 하락 지속에 따른 판가 하락과 출하 감소로 메모리가 큰 폭으로 영업적자 전환하며 손익분기점(BEP) 수준의 연결 영업이익이 불가피 하다고 판단한다"고 했다.
삼성전자도 이날 설명자료를 내고 반도체 부진이 전체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고 했다. 삼성전자는 "메모리는 매크로 상황과 고객 구매심리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 및 다수 고객사의 재무 건전화 목적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전분기 대비 실적이 큰 폭 감소했다"며 "시스템 반도체 및 SDC 도 경기 부진 및 비수기 영향 등으로 전분기 대비 실적이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삼성전자는 의미 있는 수준까지 메모리 생산량을 하향 조정 중이라고 밝혔다. 사실상 삼성전자가 반도체 감산에 돌입하겠다는 것이다. 삼성은 그간 인위적 감산은 없다고 선을 그어왔다.
삼성전자는 "통해 특정 메모리 제품을 향후 수요 변동에 대응 가능한 물량을 확보했다는 판단 하에 이미 진행 중인 미래를 위한 라인 운영 최적화에 더해 추가 조치를 취하겠다"며 "단기 생산 계획은 하향 조정했지만 중장기적으로 견조한 수요가 전망되는만큼 필수 클린룸 확보를 위한 인프라 투자는 지속하고, 기술 리더십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R&D) 투자 비중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