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주요 기업들이 세계적인 흐름인 'RE100'에 동참해 재생에너지 발전에 뛰어들고 있지만, 정부 정책은 역행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RE100은 재생에너지 전기(Renewable electricity) 100%를 약자로 2050년까지 사용 전력 100%를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캠페인이다. 2014년 영국 런던의 다국적 비영리단체 '더 클라이밋 그룹'에서 발족했다. 2022년 7월말 기준 세계 376개 기업이 동참하고 있다.
6일 재계에 따르면 RE100의 국내 가업 기업들이 매년 늘고 있다. 2020년 SK그룹 6개사를 시작으로 2021년 LG에너지솔루션, KB금융그룹 등 8개사, 2022년엔 삼성전자, 삼성SDI,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 KT, LG이노텍 등 13개사가 합류했다.
RE100 동참 기업은 가입 1년 안에 이행 계획을 제출하고 매년 이행 상황을 점검받아야 한다. 재생에너지 비중을 2030년 60%, 2040년 90%로 올려야 자격이 유지된다.
기업 별로 보면 SK그룹은 2027년까지 경기 부천시 대장공공주택지구 내 도시첨단산업단지에 1조원을 투입해 친환경에너지 연구개발(R&D) 단지 SK그린테크캠퍼스(가칭)를 조성할 계획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이곳을 경기 RE100을 선도하는 핵심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HD현대건설기계 인도법인은 최근 현지 태양광 발전 전문기업과 2.5메가와트(MW)급 태양광 발전사업 공동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올해 9월까지 태양광 발전 시설을 구축하고 향후 10년간 연 4700메가와트시(MWh)의 전력을 인도법인에 공급할 계획이다.
HD현대건설기계는 2024년 울산 캠퍼스에 신재생에너지 생산체제가 구축되면 RE100 달성을 가속할 계획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그린에너지 지원센터를 통해 이달부터 중소·중견기업의 RE100 등의 이행을 돕기 위해 기업진단과 컨설팅을 포함한 맞춤형 지원에 나선다.
하지만 기업들의 RE100 달성 노력과 달리 정부가 내놓는 정책은 후퇴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낮추고 원전 발전 비중은 높이는 중이다.
정부는 올해 1월 발표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기존 30.2%에서 21.6%로 종전 목표치보다 8%포인트 이상 낮췄다. 반대로 원전 발전 비중은 23.9%에서 32.4%로 높였다.
2036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30.6%로 올린다는 계획이지만 관련 예산은 오히려 삭감했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략정책심의회를 통해 총 4조6960억원 규모의 2023년도 전력산업기반기금 운용계획을 확정하면서 재생에너지 지원 및 에너지 신사업 활성화 부문은 지난해 1조4314억원에서 1조1093억원으로 3221억원 삭감했다.
세부 사업 중에선 △신재생에너지발전차액지원(3383억원→2144억원) △신재생에너지 금융지원(5722억원→4673억원) △신재생에너지 보급지원(3214억원→2470억원) 등이 삭감됐다. 또, 에너지신산업 기반 구축사업(284억원→39억원) △원자력 핵심기술개발 사업(312억원→65억원) 등도 삭감됐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목표치를 현실적으로 조정한 측면이 있다"면서도 "앞으로 재생에너지 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건 모두가 공감하는 바이기 때문에 정부가 기존 한전에 집중됐던 전력 시스템을 기업들이 스스로 생산해 이용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등의 세심한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