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협중앙회가 작년 한 해 동안 약 409억 원 규모의 농·소형조합 지원을 실시했다고 17일 밝혔다.
앞서 신협은 작년 3월 전국 272명의 농·소형조합 이사장들과 회장 주재 간담회를 개최하고 경영상 애로사항을 직접 청취했다.
간담회에서 나온 의견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내용에 반영됐다. 또한 대도시에 비해 경기침체 여파가 더 큰 소도시 소재 조합과 자산 1,000억 원 미만 소형조합의 지속 성장을 위해 중장기 전략을 수립했다.
지난해 신협이 농·소형조합 활성화를 위해 실시한 지원은 크게 ▲사무환경개선 ▲특별지원대출 ▲홍보 ▲소통 강화 ▲직원 교육 ▲재해 피해복구로 나뉜다.
먼저 비용 부담이 가장 큰 특별지원대출 및 사무환경 개선에 약 363억 원을 투입했다. 점포 이전 및 구입 자금이 필요한 자산 1900억원 미만 소형조합에 특별지원대출을 공급해 누적 17조합이 331억4700만원을 지원받았다.
노후한 건물 외관 및 내부 사무환경 개선에도 적극적으로 임했다. 31억6900만원을 들여 269조합에 쾌적한 환경을 제공했고 이로써 조합 신인도와 조합원 편의를 동시에 높였다.
경영 부담을 덜기 위한 홍보 지원에도 41억6200만원을 썼다. 지역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홍보 물품 지원 등이 연 2회, 총 826조합에 이뤄졌다. 작년 여름 발생한 폭우 및 태풍으로 피해를 본 23조합에는 3억3800만원의 피해 복구비용을 지원했다.
지원사업의 고도화를 위해 중앙회와 조합, 조합과 조합 간 소통 채널 마련에도 힘썼다. 총 5회의 이사장 간담회, 동반조합 워크숍, 발전위원회 등을 개최 및 운영했다.
인력이 부족해 신협중앙연수원에서 실시하는 정규교육에 참여하기 어려운 농·소형조합 직원 838명 대상 1억2000만원을 들여 특별교육과정과 찾아가는 순회교육을 실시하기도 했다.
김윤식 신협중앙회장은 “인구 고령화와 농촌 공동화 등으로 어려움에 직면한 소도시 조합과 자산규모가 작은 소형조합이 전체 신협과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성장 동력을 지원할 것”이라며 “혼자 가면 빠르지만 함께 가면 더 멀리 간다는 신념으로 작은 지자체와의 상생과 공동체 성장을 동시에 도모하겠다”라고 밝혔다.
- 신협중앙회, 자금운용시스템 ‘TAMS’ 오픈
- 신협사회공헌재단, 누적 기부금 520억 돌파
- 신협, 사회공헌 활성화 위해 전국 조합에 어부바 박스 배포
- 신협 ‘2022년 지역사회공헌 인정기업’ 404곳 중 16% 차지
- 신협, JTBC 드라마 ‘사랑의 이해’ 제작 지원
- "통신비도 어부바" 신협, 알뜰폰 요금제 출시
- 신협, 소외계층 대학생 장학금 1억원 쾌척
- 신협, 혜택·커뮤니티 하나로 묶은 ‘생활밀착형 모바일 플랫폼’ 개발 나서
- 신협사회공헌재단, 지난해 84억 규모 사회공헌활동 펼쳤다
- 신협, 지난해 당기순익 5716억 시현...21년 연속 흑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