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문화재청
사진 제공=문화재청

일본에 있던 조선시대 관리의 묘지석이 고국 품으로 돌아왔다.

문화재청은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하 재단)과 함께 일본에 거주하는 한국인이 기증한 백자청화김경온묘지(白磁靑畵金景溫墓誌)'와 '백자철화이성립묘지(白磁鐵畵李成立墓誌)를 28일 오전 공개하고, 경상북도 안동 한국국학진흥원에서 기증·기탁식을 진행했다.

묘지(墓誌)는 고인의 생애와 성품, 가족관계 등의 행적을 적어 무덤에 함께 묻는 돌이나 도판으로, 개인뿐 아니라 시대사 연구에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니는 유물이며, 이번에 기증한 두 점의 묘지는 각각 백자청화와 백자철화 방식으로 제작됐다. 

백자청화김경온묘지는 1755년 제작된 단사(丹沙) 김경온(金景溫·1692-1734)의 묘지이다. 김경온의 본관은 경북 의성(義城)이며, 조부는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고(故) 김성구이다. 김경온 역시 영조2년(1726) 진사시에 1등으로 합격하여 건원릉 참봉으로 임용됐으나, 곧 사직하고 고향인 예안으로 돌아와 후학 양성에 전념한 인물이다.

김경온 묘지는 다섯 장의 구성이 완전하게 남아 있는데, 희고 부드러운 백토로 만든 판 위에 청화 안료를 이용하여 정자로 바르게 쓴 해서체로 정갈하게 묘지문이 작성되어 있다. 특히 분원에서 청화백자묘지를 사적으로 구워 만들었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기록하고 있어 사료적 가치도 매우 높다.

'백자철화이성립묘지'는 조선시대 무관으로 활동했던 이성립(李成立·1595-1662)의 묘지이다. 17세기 후반 조선 변방 지역 무관들의 혼맥과 장례 등의 생활사를 살피는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음각과 철화 기법이 사용되었으며 묘지가 분리되지 않게 두 장을 마주 포개어 묶기 위한 것으로 추정되는 구멍이 뚫려있는 점 등 제작 방식에서 희귀성과 특수성을 보여 가치가 높다.

이번 기증은 소장자가 국외소재문화재재재단으로 직접 연락해 묘지의 소장 사실과 한국으로의 기증 의사를 밝히면서 시작됐다. 두 묘지 모두 정확한 반출 시점은 알 수 없었으나 최근 일본의 문화재 유통 시장에 나오게 된 것을 소장자가 발견하면서 “당연히 한국으로 돌려보내야 하는 유물로 생각한다”며 어떠한 보상이나 조건 없이 기증의사를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