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L이앤씨와 SK에코플랜트가 건설한 차나칼레대교가 지난 18일(현지시간) 개통했다.
개통식에는 김부겸 국무총리와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 DL이앤씨, SK에코플랜트 임직원들이 참석해 양국 협력의 기념비적 이정표이자 터키의 오랜 숙원사업이었던 차나칼레대교 개통을 축하했다.
차나칼레대교는 유럽과 아시아 대륙을 연결한다. 2018년 4월 착공하여 총 48개월 동안 공사가 진행됐다. 총 길이가 3,563m로, 주탑과 주탑 사이의 거리인 주경간장이 세계에서 가장 긴 현수교다.
주경간장의 길이는 터키 공화국 건국 100주년인 2023년을 기념하기 위해 2,023m로 설계했다. 현수교의 기술력 순위는 주경간장의 길이로 결정된다. 이전까지 세계 1위 현수교는 1998년 준공한 일본 아카시 해협 대교(주경간장 1,991m)다. K건설이 완성한 현수교로 24년만에 세계 1위 자리가 바뀌게 됐다.
이 교량은 다르다넬스 해협을 사이에 두고 나뉘어진 차나칼레주의 랍세키(아시아측)와 겔리볼루(유럽측)를 연결한다.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터키 남부의 유일한 연결고리로써 관광명소는 물론 세계적인 랜드마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DL이앤씨 이동희 토목사업본부장은 “이순신대교로 세계에서 6번째로 현수교 기술 자립을 완성한 DL이앤씨가 불과 10년 만에 세계 1위 현수교를 성공적으로 준공하게 되었다”며 “글로벌 No.1 기술력과 디벨로퍼 역량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글로벌 디벨로퍼 시장을 집중 공략해 나갈 것” 이라고 밝혔다.
SK에코플랜트 조정식 에코솔루션BU 대표는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터키 유라시아해저터널과 보스포러스 3교에 이어 다시 한번 세계 최장 현수교를 건설하는 금자탑을 쌓았다”며, “한국 건설회사의 높은 기술력과 시공능력을 세계적으로 인정받게 됐으며,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여러가지 어려움 속에서도 단 한 건의 중대 사고 없이 성공적으로 준공을 하게 돼 더욱 의미가 깊다”고 말했다.

팀 이순신, 세계 1위 현수교 건설
차나칼레대교 사업은 국내 최장, 세계 8위 현수교인 이순신대교를 함께 건설했던 DL이앤씨와 SK에코플랜트가 팀 이순신을 구성해 입찰에 참여하여 2017년 일본을 제치고 수주에 성공했다.
이순신대교를 완공하면서 현수교 기술 자립화에 성공한 DL이앤씨의 기술력과 터키와 영국 등 유럽 사업 경험이 풍부한 SK에코플랜트의 시공 기술 및 사업관리 역량의 시너지가 수주의 원동력이 됐다.
DL이앤씨와 SK에코플랜트는 이번 사업을 통해서 디벨로퍼 역량을 세계 시장에 입증했다. 차나칼레대교 프로젝트는 3.6km의 현수교와 85㎞의 연결도로를 건설하고 약 12년간 운영한 후 터키정부에 이관하는 BOT(건설∙운영∙양도)방식의 민관협력사업이다. 두 회사는 단순 시공에서 벗어나 사업 발굴 및 기획부터 금융조달, 시공, 운영까지 담당하며 고부가가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디벨로퍼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SK에코플랜트와 DL이앤씨가 주도한 팀 이순신에는 상생협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국내 기업이 참여했다. 이를 통해서 약 1억 8천만 유로(약 2,433억 원)규모의 협력회사 매출 창출과 함께 협력회사의 세계시장 진출 기회를 마련했다.
포스코는 주탑과 상판 제작에 사용되는 약 8만 6천톤의 강판을 공급했다. 고려제강은 포스코에서 생산한 원재료로 케이블 제작을 담당했다. 삼영엠텍은 주 케이블 부속자재와 앵커리지 정착구를 공급하고, 관수 E&C와 엔비코는 케이블 가설공사를 맡았다. 티이솔루션은 현수교 주탑의 진동 제어장치를 포함한 제진장치를 공급했다.

현수교 세계 기록 새롭게 쓰다
차나칼레대교는 공사 규모뿐만 아니라 건설 과정에서 각종 첨단 공법을 선보여 K건설의 뛰어난 기술력을 세계에 선보였다. 2021년 10월에는 미국의 대표적인 건설잡지 ENR의 표지를 장식하였고, 입찰 경쟁국이었던 일본의 경제신문 니케이에서도 취재를 할 만큼 세계의 관심이 뜨거웠다. 국내 기술진의 기술력과 발상의 전환으로 현수교 관련 각종 기록을 모두 갈아 치우며 해상 특수교량 기술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차나칼레대교는 크기와 규모만큼 투입한 자재의 양도 블록버스터 급이다. 약 1만 7천명의 인력이 동원되어 2,630,430일의 시간을 들여 완공했다. 일반 아파트 2,247세대를 지을 수 있는 213,448㎥의 콘크리트가 사용되었다. 1톤 트럭으로 35,000대가 넘는 철근과 A380 기종 항공기 154대를 제작할 수 있는 강판이 투입되었다. 케이블을 구성하는 강선의 길이는 162,000km로 지구를(약 4만km) 약 4바퀴 도는 거리에 해당한다.
주탑은 높이 334m의 철골 구조물이다. 아카시 해협 대교의 주탑(298.3m), 프랑스의 에펠탑(320m), 일본의 도쿄타워(333m) 보다 높다. 주탑은 속이 빈 사각형 상자 모양의 블록을 마치 레고블록을 쌓아 올리듯이 설치되었다. 블록은 국내에서 생산된 강철판으로 현장에서 제작했다.
차나칼레대교의 케이블은 1,960MPa(메가파스칼)급의 현존하는 최고의 인장강도(케이블이 끊어지기 직전까지 무게를 감당할 수 있는 능력)를 가진 직경 5.75mm의 초고강도 강선이 사용되었다.
차나칼레대교가 위치한 다르다넬스 해협은 강풍이 잦은 지역이다. SK에코플랜트와 DL이앤씨는 내풍 안정성에 최적화된 비행기 날개 모양의 유선형 트윈 박스 거더(TWIN BOX GIRDER)를 상판으로 적용했다.
앵커리지는 케이블의 힘을 다리 양 끝에서 지지해주는 구조물이다. 차나칼레대교는 길이 92m, 폭 80m 및 높이 50m의 콘크리트 구조체가 약 40,000톤에 달하는 케이블의 장력을 지지하고 있다.
주탑을 지지하는 기초인 케이슨(Caisson)은 속이 빈 사각형 격자 모양의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두 개의 원통형 철강재가 올라간 형태다. 현장 인근에 있는 육상에서 총 2개가 제작되었다. 하루 최대 1,300여명의 인력과 레미콘 트럭 9,000대 이상 분량의 콘크리트가 투입되었다. 개당 무게가 6만 여 톤에 이른다. 높이가 47m로 콘크리트 구조물만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 맞먹는 크기다.

- 용인시 반도체클러스터 입지 원심면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 현대重그룹, 대졸 신입사원 400명 채용… "조선업 불황 이후 최대"
- 포스코그룹, 소중한 생명 구한 의인 '정한호·임주현·이수형' 정규직 채용
- 최태원 SK그룹 회장 "울산 CLX, 대한민국 에너지 심장 역할 할 것"
- 삼성전자, '2022 삼성 스마트스쿨' 본격 운영
- 윤석열 당선인 "5월 10일부터 청와대 개방"
- [출근길 5분 뉴스] 코로나20만명·사적모임8인·윤석열경제단체회동·아파트공시가격·제주항공국제선·중고차매매·둔촌주공갈등·정주영21주기·우상혁금메달 등
- 삼성전자, GOS 사태로 '골치'...미국에 이어 한국서 2000명 이상 집단소송 추진
- hy, 금호석유화학과 저탄소 순환경제위한 업무협약
- 포스코강판, 포스코스틸리온으로 사명 변경
- [출근길 5분 뉴스] 뉴욕증시↓·경제6단체장회동·인수위업무보고·여가부폐지·세계식량난·中항공기추락·동국제강사망·갤럭시S22지원금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