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농해수위 주철현 의원
국회 농해수위 주철현 의원

정부의 항만투자 불균형이 항만 체선율과 물동량 감소 등으로 해상교통 안전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국회 농해수위 주철현 의원(민주당, 전남 여수시갑)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1년 6월까지 5년간 여수석유화학국가산단 내 4개 부두(중흥·낙포·사포·석유화학)의 평균 체선율은 26.68%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국내 주요 국가항만인 부산항은 0.28%, 울산항 1.75%, 인천항 0.75%로 여수국가산단 석유화학부두가 20~40배나 높은 체선율을 보이고 있다.

체선율은 선박이 정해진 기일을 넘어 항만에 머물러 있는 비율이다.

이러한 심각한 항만 체선율은 정부의 항만투자에 반비례하고 있다. 실제 제3차 국가항만기본계획(2011~2020년)에서 여수광양항 투자액은 부산항(4조2880억원)의 25%, 인천항(1조7890억원)의 61%, 그리고 울산항(1조7990억원)의 60% 수준이다.

이 같은 투자불균형은 제4차 국가항만기본계획에도 확인된다. 올해부터 시작하는 정부의 제4차 국가항만기본계획(2021~2030년)에서도 여수광양항 투자는 부산항 투자액 5조2420억원의 40%에 불과하다.

여수광양항에 대한 투자불균형은 여수국가산단 석유화학부두의 체선율 심각과 함께 해상교통 안전성까지 위협하고 있다.

여수해수청이 지난해 실시한 '여수광양항 항로 안정성 검토용역' 결과에 따르면, 여수국가산단 석유화학부두 Peak Time 해상교통혼잡도(현재/5년 후)는 율촌2산단이 52.83%→137.41%, 제2항로는 106.6%→112.7%, 제3항로는 110%→121%, 제4항로는 110.6%→129.7%로 더 심각해지는 것으로 예측했다.

여수국가산단 석유화학부두는 여수광양항 물동량의 48%를 차지하는데도 불구하고 여수광양항만공사 설립 이후 지난 9년 동안 전체 투자사업비 1714억원 가운데 10%인 184억원만 투자되는데 그쳤다.

주철현 의원은 "항만투자 불균형은 여수국가산단 석유화학부두의 체선율 악화는 물론 선박의 해상교통 안전까지 위협하고 있다"며 "현재 단방향으로만 운항되는 묘도수로의 항로 확장과 증심을 위한 정부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