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 사진=연합뉴스
카드사. 사진=연합뉴스

2003년 카드대란을 연상케 하는 우려 섞인 전망이 속출하면서 카드사들이 재차 은행권에 흡수되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고개를 들었다.

카드사 연체대금이 20년 만에 2조원을 돌파하고 연체율, 리볼링, 대손상각비 등 곳곳에서 경고등이 켜졌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일각에서는 카드대란 당시 흡수된 카드사가 결국은 2011년 다시 분사한 사례를 거론하며 예전과 같은 상황이 반복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29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카드사들의 지난해 3분기 기준 연체대금이 2조원을 돌파하면서 이런 해석이 감지된다.

실제로 카드대란 당시 KB국민카드는 KB국민은행, 외한카드는 외환은행, 우리카드는 우리은행에 흡수합병 됐다. LG카드는 신한카드로 아예 통합됐다.

그러나 카드사들은 일제히 "업권 차이와 더불어 카드대란 때와 달리 현재는 컨트롤 가능한 수준"이라며 흡수합병 가능성을 일축했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불황은 맞지만 카드사들이 충분히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며 "어디든 늘 호황일 수만은 없고 카드사도 충분한 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카드대란과 같은 흡수합병을 추진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고 덧붙였다.

특히 코로나19 확산 국면에서 카드사 연체율이 1%대를 유지했다는 점과 비교해 오히려 당시 비정상적으로 낮았던 연체율이 다시 정상화되는 과정으로 보는 것이 정확하다는 설명도 나왔다.

현실적으로는 여신전문금융업법 적용을 받는 카드사들이 은행권에 흡수 통합될 경우 은행법 적용을 받아 추진하는 사업이 한순간에 물거품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이렇게 되면 이제 막 성과가 보이기 시작하는 금융권 마이데이터 사업 등도 재검토돼야 한다는 해석이다.

은행들 반응도 냉랭하다. 카드사 특성상 중·저신용자가 주요 고객인 만큼 이들이 은행으로 유입되면 부실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가뜩이나 디지털 전환이 화두인 흐름에서 은행 점포 축소와 인력 구조조정에 민감한 상황인데 몸집을 줄여야 하는 상황에서 카드사 흡수합병은 오히려 거꾸로 돌아가는 것이란 반박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