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태양의 숲 8호' 조성 행사 후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한화그룹
한화 태양의 숲 8호' 조성 행사 후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한화그룹

한화그룹의 대표 친환경 사회공헌 활동 프로그램 중 하나인 ‘한화 태양의 숲’ 캠페인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탄소중립에 앞장섰다.

한화그룹은 강원도 삼척 탄소중립숲 조성지에서 ‘한화 태양의 숲 8호’ 조성 마무리 기념 행사를 진행했다고 21일 밝혔다.

삼척 탄소중립숲 조성지는 산림청이 30년 간 나무 30억 그루를 심어 탄소 3400만 톤을 줄이겠다고 발표한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 추진전략’ 프로젝트를 통해 조성될 국유림 중 한 곳이다.

한화는 지난 3월부터 한 달여 간 삼척시 노곡면 주지리 일대 부지 약 5만 ha에 태양광 에너지로 키운 아까시나무(꿀벌이 꽃에서 꿀을 채취하는 수종) 1만5000그루를 심어 연간 이산화탄소 162톤, 미세먼지 330톤을 흡수할 수 있는 8호 태양의 숲 조성을 마무리했다.

30년생 아까시나무 연간 흡수 가능 이산화탄소량은 참나무류보다 약 14% 가량 많다.

특히 이번 8호 태양의 숲은 지난해 6월 런칭한 태양의 숲 캠페인 전용앱 참가자 ‘숲퍼히어로’가 가상 공간에서 키워 기부한 나무 1만5000그루를 실제 숲 조성에 사용했다.

한화커뮤니케이션위원회 위원장 이태길 부사장은 “‘한화 태양의 숲’은 한화그룹이 추구하는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대표하는 캠페인으로 기후 변화와 환경문제 관련 인식제고 및 공감대 형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8호 태양의 숲이 실질적으로 기후위기 대응과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 추진전략’ 달성을 위한 디딤돌 역할을 할 수 있게 돼 뜻 깊다”고 말했다.

‘한화 태양의 숲’ 은 한화그룹이 지난 2011년 사회적 기업 트리플래닛과 파트너십을 맺고 국내외 친환경 숲을 조성해온 프로젝트 활동이다.

지난 2012년 몽골 토진나르스 사막화 방지숲을 시작으로 중국, 한국 등에 총 7개 숲을 조성했으며 이를 모두 더하면 약 133만㎡ 면적에 나무 약 50만 그루를 심었다. 이렇게 조성된 숲은 해당 지역 사막화 방지, 수질 정화, 대기 정화, 토사유출 방지와 같은 효과를 거두고 있다.

‘한화 태양의 숲’은 태양광 에너지로 키워 탄소배출이 적은 묘목을 사용해더욱 친환경적으로 숲을 조성할 수 있다. 2호숲을 시작으로 ‘한화 태양의 숲’은 태양광 양묘장에서 키운 묘목으로 숲을 조성해왔다.

또한 ‘한화 태양의 숲’을 통해 사막화, 황사, 미세먼지와 같은 환경 문제 해결책을 제시하고 일반 대중 참여를 유도해 환경 문제에 대한 공감과 의식 제고를 꾀했다.

‘한화 태양의 숲’ 캠페인은 2018년 UN본부 개최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고위급 정치포럼(High-Level Political Forum on Sustainable Development)’ 부대행사에서도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파트너십 모범사례로 소개된 바 있다.
 

한화 태양의 숲. 사진=한화그룹
한화 태양의 숲. 사진=한화그룹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