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립동물병원의 진료 모습. 사진=성남시
성남시립동물병원의 진료 모습. 사진=성남시

농림축산식품부가 동물병원 진료비 게시 의무화하는 방안을 시행하면서 다시 한번 펫보험 경쟁이 본격화하는 분위기다.

여기에 발맞춰 손해보험업계도 발 빠르게 대응하는 모습인데 펫보험 시장은 전체 반려 인구수 대비 1%대 가입률에 그쳐 보험업계에서는 블루오션으로 꼽힌다.

1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수의사법 개정에 따라 지난 5일부터 진료비용 사전 게시를 모든 동물병원을 대상으로 확대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번 개정안을 통해 동물병원 진료비에 대한 소비자 알권리와 진료 선택권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했는데 수의사법 개정안을 신호탄으로 펫보험 시장의 경쟁이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펫보험은 팬데믹을 거치면서 반려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2022년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국내 반려동물 개체수는 800만 마리에 육박했다. 

그에 비해 1%대의 가입률에 그치면서 보험업계에서는 블루오션으로 꼽히는 시장이다.

이에 정부도 펫보험 시장 확대를 국정과제로 정하며 적극적인 펫보험 시장 확대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지난해 말부터 펫보험 시장 활성화를 위해 전문 보험사의 진입 규제를 완화하고 나섰다.

이에 펫보험 시장도 지난해 폭발적으로 증가했는데 지난해 판매하는 10개 손해보험사의 지난해 말 기준 새로운 계약과 보유계약 건수는 4만8325건과 10만1196건이다.

이는 2022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각각 37%, 40% 급증한 수치로 원수보험료도 1년 사이에 90억원이 늘어 378억원을 기록했다.

여기에 발맞춰 보험업계도 펫보험 상품 출시에 열을 올리고 있다.

먼저 KB손해보험은 지난해 6월 업계 최초로 질병이 있는 반려동물도 보험 가입이 가능했던 'KB 금쪽 같은 펫보험'을 통해 출시 한 달 만에 1억원이 넘는 매출을 달성하며 펫보험 업계 메기로 부상했다.

KB손해보험은 올해 펫보험 사업 전담 부서인 'Pet 사업 Unit' 조직을 새로 만들어 신상품 개발과 함께 유관 사업 제휴, 투자를 통해 펫보험 시장의 역량을 더욱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삼성생명, 삼성화재, 삼성카드의 삼성금융네트웍스는 지난해 말 삼성금융 통합 앱 ‘모니모’에서 반려동물을 테마로 한 기획 상품을 열었다.

삼성금융네트웍스는 올해 펫보험 전문 회사의 지분 투자를 통해 펫보험 시장에서도 초격차를 이어 나가겠다는 전략이다.

DB손해보험도 업계 최고 수준인 반려동물 의료비 보장과 더불어 반려동물의 MRI, CT 촬영 비용을 최대 100만원가지 확대하는 추가보장 담보인 '펫블리 반려견보험'을 통해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규제 완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가입률이 1%대에 머무는 것을 두고 보험료 대비 적은 보장 범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고개를 들었다.

이러한 주장은 펫보험의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비)'에 주목한 것인데 펫 보험이 실손보험보다 3배 이상 비싼 가격이 주목받으며 이러한 주장에 힘을 실었다.

올해 기준 손해보험업계 기준 4세대 실손보험료 최상단은 40대 남성 기준 보험료는 2만원대에서 그친 데 비해 펫보험의 보험료는 2~3배인 수준인 4~6만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4~6만원의 보험료를 내고 펫 보험에 가입하더라도 반려견에게 자주 발생하는 슬개골 탈구 등 특정 질환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특약에 따로 가입해야 하고 보험료는 2배가량 오른다.

또한 가성비는 둘째치고라도 펫보험 시장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려면 정부가 나서서 동물등록제 먼저 정착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동물등록제는 반려동물의 객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반려동물 몸속에 고유번호가 부여된 마이크로칩을 삽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데 사람으로 치면 주민등록증과 마찬가지다.

하지만 반려묘는 의무 사항이 아니며 반려견 역시 외장형 등록이 여전히 허용되면서 일선에서는 치료를 받은 동물이 실제 보험에 가입한 대상과 동일한지 식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보험 정착과 규제 완화를 위해서라도 농림축산식품부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 여러 개로 분류된 정부의 기능을 일원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펫 보험시장이 새로운 블루오션인 것은 맞지만 여러 문제가 뒤엉켜 어려움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불필요한 규제는 빠르게 없애고 동물등록제와 같은 필요한 제도를 정착하기 위해 정부와 보험사 모두 머리를 맞대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