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중형위성과 아리랑3A호 비교. 사진=한화시스템
차세대 중형위성과 아리랑3A호 비교. 사진=한화시스템

우리나라의 첫 ‘차세대 중형위성’이 지난 22일 발사 및 교신에 성공했다.

성공 핵심 요소 중 하나는 발사체와 탑재체의 소형화·경량화다. 이번 위성은 아리랑 3A호의 신뢰성을 유지하면서 크기를 절반(2.0m×3.8m→1.4m×1.55m)으로 줄였다. 무게도 600㎏(1100㎏→500㎏)이나 가벼워졌다. 

한화시스템은 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 주관한 광학 탑재체 카메라 제어부, 초점면 전자부 등을 국산화하고 500㎏급 위성 제작을 위해 탑재체를 150㎏으로 소형화·경량화하면서도 해상도와 관측 폭 등 성능은 향상시켰다.

방효충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위성 성능과 가성비를 높이는 데 민간 기업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며 “정부 주도 우주 개발이 아닌 민간 주도 우주 개발이 첫 발을 뗀 것으로 본다. 이것은 세계적 추세”라고 말했다.

실제로 미국 민간 항공업체 스페이스X의 CEO 일론 머스크는 “200㎏대 소형 위성 1만3000개를 쏘아 올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위성을 이어 전 세계에 초고속 인터넷망을 구축하겠다는 ‘스타링크’ 계획이다.

이번에 발사한 차세대 중형위성은 소형 위성으로 가는 중간 단계다. 방 교수는 “우주 개발 사업이 정부에서 민간으로 대형에서 소형 위성으로 가는 발전 단계에 있다”고 평가했다.

탑재체가 가벼우면 발사체 부담이 줄어든다. 즉, 한 번 발사할 때 더 많은 위성을 실어 같은 비용으로 더 많은 위성을 우주에 내보낼 수 있다.

또한 한 번에 여러 개 위성을 발사해 ‘군집 위성’을 만들면 위성 연계로 통신체계 및 관측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한편 한화시스템은 지금도 위성 소형화·경량화를 진행 중이다. 본체·탑재체 합 100㎏ 이하 초소형 SAR(고성능 영상레이더) 위성 체계를 개발하고 있다.

차세대 중형위성 전자광학탑재체. 사진=한화시스템
차세대 중형위성 전자광학탑재체. 사진=한화시스템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